<개인공부>/학교 수업

운영체제 2019년도 문제풀이

데브수달 2023. 12. 14. 16:41
728x90
반응형

1.병행성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번. 여러 개의 프로세스 또는 쓰레드가 동시에 실행되는 시스템의 특성

2번. 동시에 실행되는 여러 개의 프로세스 또는 쓰레드를 병행 프로세스라 부름

3번. 하나의 CPU에서는 병행 프로세스가 인터리빙 형식으로 실행

4번. 분산 메모리 구조에서는 병행 프로세스  처리가 불가

 

2. 2개 이상의 프로세스가  동시에 공유자원을 액세스하는 코드 영역에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은?

1번.임계영역

2번.상호배제

3번.교착상태

4번.기아상태

 

3.세마포어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번. Busy waiting을 이용하여 CPU 사이클을 낭비

2번.Dijkstra가 제안한 동기화 도구

3번.세마포어는 정수형 공용변수

4번.세마포어는 두 표준단위 연산 P와 V에 의해서만 접근됨

 

4번. 생산자/소비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호배제와 동기화가 모두 필요하다.

세마포어를 이용하여 생산자 프로세스를 다음과 같이 구현하였을 때, 상호배제를 위한 세마포어의 이름은?

1번.empty

2번.mutex

3번.nextp

4번.full

 

5. 다음 중 판독기/기록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것은?

1번.기록기가 다른 기록기와 동시에 공유 데이터 객체에 접근

2번.기록기가 판독기와 동시에 공유 데이터 객체에 접근

3번.판독기가 기록기와 동시에 공유 데이터 객체에 접근

4번.판독기가 다른 판독기와 동시에 공유 데이터 객체에 접근

 

6.교착상태의 필요조건에 포함되는 것은?

1번. 상호호환

2번. 비점유 대기

3번. 선점

4번. 환형 대기

 

*(7~8) 자원할당 그래프가 아래와 같이 주어질 때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7.위 자원할당 그래프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1번. P2는 자원을 나타냄

2번. r2는 프로세스를 나타냄

3번. r3 위의 숫자는 할당되고 남은 단위자원을 나타냄

4번. r2는 P2에 할당됨

 

8.위 자원할당 그래프는 교착상태를 나타낸다. 간선을 하나만 제거했을 때 교착상태가 해소되는 간선은?

1번. (ㄱ) 2번.(ㄴ) 3번.(ㄷ) 4번.(ㄹ)

 

9.각 자원 유형의 단위자원이 하나밖에 없는 경우 변형된 자원할당 그래프를 활용하여 교착상태를 회피할 수 있다.

그래프가 아래와 같을 때 다음 중 운영체제가 수용할 경우 불안전상태가 되는 요청은? 단, 점선 화살표는 선언간선을 나타낸다.

 

1번..P1이 r1을 요구

2번. P1이  r2를 요구

3번. P2가 r3을 요구

4번. P3이 r2를 요구

 

10. 용량에 따라 기억장치를 계층적으로 바르게 구성한 것은?

가장 많음 > 많음>적음> 가장 적음 순

1번.레지스터 / 캐시 기억장치 / 메모리 / 보조기억장치

2번. 보조기억장치/ 레지스터/ 메모리/ 캐시 기억장치

3번. 보조기억장치/ 메모리 / 캐시 기억장치/ 레지스터

4번. 캐시 기억장치 / 레지스터/ 메모리 / 보조기억장치

 

11.다중 프로그래밍 환경에서 여러 프로세스에 메모리를 적재하기 위한 메모리 분할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번. 고정 분할은 메모리를 여러 개의 고정된 크기의 영역으로 분할함

2번.동적 분할은 각 프로세스에게 필요한 만큼의 메모리만을 할당

3번.동적 분할은 내부 단편화가 발생할 수 있음

4번. 고정 분할에서 분할마다 큐를 두는 방법은 메모리 효율성이 낮음

 

*(12~13) 빈 공간 리스트가 아래 그림과 같을 때, 16MB의 기억 장소 요구가 발생하였다.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12.최적 적합을 이용할 때 할당 되는 위치는?

1번. 공백1 2번. 공백2 3번. 공백3 4번. 공백4

 

13.최악 적합을 이용할 때 할당되는 위치는?

1번. 공백1 2번. 공백2 3번. 공백3 4번. 공백4

 

14.가상 메모리 관리기법 중 세그먼테이션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바른 것은?

1번. 세그먼트의 크기는 모두 동일

2번. 세그먼트의 크기는 하드웨어적인 측면과 관련 있음

3번. 사상표에 세그먼트 길이를 저장함

4번. 외부 단편화와 내부 단편화 모두 발생하지 않음

 

15. 페이지 호출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번. 요구 페이지 호출기법은 실제 요구가 있을 때 메모리로 이동

2번. 요구 페이지 호출기법은 옮길 페이지 결정에 오버헤드가 큼

3번. 예상 페이지 호출기법은 프로세스 시작 시점에 적용하면 성능이 개선됨

4번. 예상 페이지 호출기법은 예상이 잘못된 경우 메모리 낭비

 

16.앞으로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을 페이지를 교체 대상으로 선택하면 최선이지만 미래를 예측할 수 없어 실현 불가능한 원칙은?

1번. 최적화의 원칙

2번.최대화의 원칙

3번. Belady의 원칙

4번. Moore의 원칙

 

17.장치의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1번. 장치제어기는 소프트웨어임.

2번. 장치제어기는 장치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기계적인 움직임으로 변환함

3번. 장치 드라이버는 하드웨어임

4번. 장치 드라이버는 응용 프로그램의 입출력 요청을 해당 장치에 맞도록 변환함

 

*(18~19) 시간 별 페이지 참조가 아래와 같다. 2개의 페이지 프레임이 있고 현재 시간 3까지 진행이 되었을 때,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18. FIFO 페이지 교체기법에서 시간 4에 교체 대상으로 선택하는 페이지 프레임 안의 페이지는? 

1번. A 2번. B 3번. C 4번. 교체할 필요 없음

 

19.LFU 페이지 교체기법에서 시간 4에 교체 대상으로 선택하는 페이지 프레임 안의 페이지는?

1번. A 2번. B 3번. C 4번. 교체할 필요 없음

 

20. CPU의 데이터 처리 속도와 입출력장치의 데이터 전송 속도의 차이로 인한 문제를 임시 저장 장소를 이용하여 해결하는 입출력 관리 방법은?

1번. 인터럽트

2번. DMA

3번. 버퍼링

4번. 폴링

 

21.디스크 스케줄링에서 일반적으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시간은?

1번. 대기시간 2번. 전송시간 3번.탐구시간 4번.회전지연시간

 

22.현재 5번 트랙에 디스크의 헤드가 위치해 있다. 트랙 접근 요구가 9->8->7->2의 순서로 큐에 들어와 있을 때, FCFS스케줄링에 의해 요구가 서비스되는 순서는?

1번. 2->7->8->9

2번. 7->2->8->9

3번. 7->8->9->2

4번. 9->8->7->2

 

23.현재 5번 트랙에 디스크의 헤드가 위치해 있고 0번 트랙을 향해 요구를 서비스하며 움직이고 있다. 트랙접근 요구가 9->8->7->2의 순서로 큐에 들어와 있을 떄, SCAN스케줄링에 의해 요구가 서비스되는 순서는?

1번. 2->7->8->9

2번. 7->2->8->9

3번. 7->8->9->2

4번. 9->8->7->2

 

24.운영체제 보안의 기본 목표와 거리가 먼 것은?

1번. 효율성

2번. 무결성

3번.기밀성

4번.가용성

 

25.벨 -라파튤라(BLP)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번.기밀성 유지에 초점을 둠

2번. 벨과 라파뮬라가 개발한 수학적 모델

3번. 비바 모델에 불법 수정 방지를 추가로 정의

4번. 보안 시스템 내에서 허용되는 정보의 흐름을 설명하는 모델

 

문제의 답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