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도 1학기 운영체제 문제풀이
1.프로세스 동기화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번. 2개 이상의 프로세스에 대한 처리순서를 결정하는 것
2번. 동시에 사용할 수 없는 공유자원이 있는 경우 동기화 필요
3번. 한 프로세스의 처리 결과에 따라 다른 프로세스의 처리가 영향을 받는 경우 동기화 필요
4번. 한 프로세스 내외 프로그램 문장 사이의 처리 순서를 결정하는 것
2. Test-and- Set(lock)명령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번. 원자적으로 수행됨
2번. lock이 참이었다면 Test-and- Set의 반환값은 거짓임
3번. lock이 거짓이었다면 프로세스는 임계영역에 들어가게 됨
4번. 많은 프로세스가 임계영역에 들어가기를 원할 때 기아가 발생 할 수 있음.
3. 다음은 세마포어 s에 대한 연산 P(s)와 V(s)의 정의이다.
(가)와 (나)에 들어갈 내용으로 바른 것은?
![](https://blog.kakaocdn.net/dn/cxMhnT/btsB2P23mSP/jfzZEFrNEp7ZNmZBeag9Vk/img.png)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1번. (가) s:=s+1; (나) s:= s+1;
2번. (가) s:=s+1; (나) s:= s-1;
3번. (가) s:=s-1; (나) s:=s+1;
4번. (가) s:=s-1; (나) s:=s-1;
4. 공유 기억장치를 통해 프로세스 사이의 통신을 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1번. 공유 변수가 통신에 사용됨
2번. 속도가 느려 소량의 데이터 교환에 유용
3번. 통신기능 제공의 책임은 운영체제에 있음
4번. send/receive와 같은 메시지 전달 명령이 사용됨
5. 메시지 시스템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번. 직접 통신은 메시지 전달 연산에 수신자나 송신자의 이름을 명시
2번. 간접 통신은 메시지 전달 연산에 우편함 이름을 명시
3번. 메시지를 주고받기 위한 연결통로를 통신 링크라 함
4번. 통신 링크의 최대용량이 0인 경우 동기화가 필요하지 않음.
6. 2개 이상의 프로세스가 서로 상대방의 작업이 끝나기만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를 일컫는 용어는?
1번. 임계영역
2번. 인터럽트
3번. 교착상태
4번. 기아상태
7. 교착 상태의 필요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번. 상호배제 - 프로세스들이 자원에 대한 배타적인 통제권을 요구
2번. 점유 대기- 프로세스a가 자원 s를 할당받아 배타적으로 점유한 채로 프로세스b가 점유 중인 자원t가 해제되기를 기다리는 상황
3번. 선점- 프로세스에 할당된 자원은 그 프로세스 스스로 반환하기 전이라도 제거 가능
4번. 환형 대기- 프로세스의 자원 점유 및 점유된 자원의 요구 관계가 환형을 이루며 대기
8.다음 자원할당 그래프에서 간선을 하나만 제거했을 때 여전히 교착상태가 되는 간선은?
![](https://blog.kakaocdn.net/dn/bdxZ1s/btsB7SjCac8/el70dAemrH2ukzDmtvnBfk/img.png)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1번. (ㄱ)
2번. (ㄴ)
3번. (ㄷ)
4번. (ㄹ)
9. 교착상태 회피 기법에서 어떠한 요청이 들어왔을 때 요청받은 자원을 할당해도 문제가 없는 경우는?
1번. 자원을 할당하면 안전순서열이 존재하지 않게 되는 경우
2번. 자원을 할당해도 안전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3번. 현재 상태가 불안전상태인 경우
4번. 현재 상태가 안전상태인 경우
*(10~11) 빈 공간 리스트가 아래 그림과 같을 때 11MB의 기억 장소 요구가 발생하였다.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https://blog.kakaocdn.net/dn/cafje5/btsB5XzxjqV/s5gsKYntkZYbYmivmkJxLK/img.png)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10. 최초 적합을 이용할 때 할당되는 위치는?
1번. 공백 1
2번. 공백2
3번. 공백3
4번. 공백4
11. 최적 적합을 이용할 때 할당되는 위치는?
1번. 공백1
2번. 공백2
3번. 공백3
4번. 공백4
12. 접근 속도에 따라 기억장치를 계층적으로 바르게 구성한 것은?
가장 빠름--- 빠름 -- 느림 --가장 느림
1번. 레지스터 캐시 기억장치 메모리 보조기억장치
2번. 보조기억장치 메모리 캐시 기억장치 레지스터
3번. 레지스터 보조기억장치 메모리 캐시 기억장치
4번. 캐시 기억장치 레지스터 메모리 보조기억장치
13.가상 메모리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1번.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른 컴퓨터의 메모리를 사용해야 함
2번. 메모리 크기보다 더 큰 기억공간이 필요한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는 없음
3번. 프로세스가 참조하는 주소와 메모리에서 사용한은 주소가 동일
4번. 사상이 필요함
14. 가상 메모리 관리기법 중 페이징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1번. 페이지의 크기는 모두 동일
2번. 외부 단편화가 발생할 수 있음
3번. 페이지의 크기는 논리적 측면과 관련 있음
4번. 사상표에 페이지의 길이를 저장함
*(15~16) 시간 별 페이지 참조가 아래와 같다. 3개의 페이지 프레임이 있고 현재 시간 4까지 진행이 되었을 때,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https://blog.kakaocdn.net/dn/GXhcO/btsB2OQAUN2/CzA1lcKMV4ah95V55sBnsk/img.png)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15. FIFO 페이지 교체기법에서 시간 5에 교체 대상으로 선택하는 페이지 프레임 안의 페이지는?
1번. A 2번. B 3번. C 4번. D
문제풀이:
16. LRU페이지 교체기법에서 시간 5에 교체 대상으로 선택하는 페이지 프레임 안의 페이지는?
1번. A 2번. B 3번. C 4번. D
문제풀이: A(1)/ A(1)B(2) / A(1) B(2) C(3)/ B(4) B(2) C(3)/ B(4) D(5) C(3)
17. 워킹 세트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1번. 프로세스가 실행되어도 워킹세트의 크기는 변함 없음
2번.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워킹세트를 메모리에 절반만 유지
3번. 페이지 부재 비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
4번. 데닝(Denning)이 제안
문제풀이: 페이지 부재비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Denning이 제안한 모델이다.
워킹 세트의 크기도 달라질 수 있음.
워킹 세트를 메모리에 유지하지 않으면 페이지부재가 많이 일어나는 쓰레싱 유발이 가능하다.
18.인터럽트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1번. CPU만을 이용하여 입출력을 처리
2번. 폴링 방식이므로 비효율적임
3번. 어떤 장치가 다른 장치의 작업을 잠시 중단시키고 자신의 상태를 알림
4번. CPU를 거치지 않고 입출력 장치와 메모리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
19. CPU와 DMA 제어기가 동시에 메모리 액세스를 시도한 경우 CPU보다 DMA제어기에 우선권을 부여하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는?
1번. 인터럽트 방법
2번. DMA방법
3번. 사이클 스릴링
4번. 버퍼링
20. 자기디스크의 접근시간 구성요소 중 헤드를 움직여 지정된 트랙에 위치시키는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는 것은?
1번. 회전지연시간
2번. 탐구시간
3번. 전송시간
4번. 응답시간
21.현재 10번 트랙에 디스크의 헤드가 위치해 있다. 트랙 접근 요구가 15->16->9->1의 순서로 큐에 들어와 있을 때,
SSTF 스케줄링에 의해 요구가 서비스되는 순서는?
1번. 15->16->9->1
2번. 9 ->1 -> 15->16
3번. 1->9->15->16
4번. 9-> 15 -> 16 ->1
문제풀이: 10번 트랙에서 가장 가까운 트랙부터 처리하는 것을 sstf 10번에서 가장 가까운 것은 9 그럼 9에서 가까운 것은 각 숫자를
뺴줬을 때 15 15기준에서 16 그 다음이 마지막 1
22.현재 10번 트랙에 위치한 디스크의 헤드가 0번 트랙을 향해 요구를 서비스하며 움직이고 있다.
트랙 접근 요구가 15-->16->9->1의 순서로 큐에 들어와 있을 때, LOOK 스케줄링에 의해 요구가 서비스되는 순서는?
1번. 15->16->9->1
2번. 9 ->1 -> 15->16
3번. 1->9->15->16
4번. 9-> 15 -> 16 ->1
문제풀이: SCAN스케줄링처럼 처리하되 진행방향으로 더 이상 접근 요구가 없으면 방향을 바꾸는 방법
10번에서 가장 가까운 9->1 가다가 막혀서 반대 방향으로 틀면 15->16 순으로 간다.
23.한 컴퓨터에서 작동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컴퓨터에 있는 프로시저를 호출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이언트/서버 메커니즘은?
1번. NUMA
2번. RPC
3번. DFS
4번. DAC
24. 운영체제 보안의 기본 목표와 그 설명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번. 무결성 -모든 주체는 합법적인 경우에는 항상 객체에 접근이 가능해야 함
2번. 가용성- 비인가 주체에 의한 자원의 생성, 변경, 삭제 등으로부터 자원을 보호
3번. 기밀성- 운영체제 자원의 부적절한 노출을 예방하고 감지
4번. 접근제어- 컴퓨터 시스템에 발생한 모든 중요한 사건을 영구적으로 기록
문제풀이: 운영체제 보안의 기본3요소에는 무결성, 가용성, 기밀성이 있다.
무결성이란, 객체에 저장된 정보는 항상 정확할 것
기밀성이란, 주체가 자원을 합법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면 사용되어서는 안되는 것
가용성이란, 주체가 자원을 사용하는 데 문제가 없다면 반드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
25.권한은 역할과 관련이 있으며, 사용자들은 역할의 한 멤버가 됨으로써 권한을 배정받게 되는 보안 정책은?
1번. 임의적 접근제어
2번. 강제적 접근제어
3번. 역할 기반 접근제어
4번. 최소권한
문제풀이: 역할 기반 접근제어에서는 사용자는 역할의 멤버가 됨으로써 권한을 배정받는다.
![](https://blog.kakaocdn.net/dn/odYc4/btsB7knbS2K/bTpLqU7TtehBac3KXRX810/img.png)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